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의 대장암, 자궁암, 뇌졸중 진료성과가 OECD 국가중 최고수준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반면 만성질환 관리는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OECD는 4일(프랑스 현지시각)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3년 기준 회원국별 보건의료 성과’를 발표했다.

 

보건의료 질 지표 분석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대장암과 자궁암, 뇌졸중 진료성과는 OECD 평균을 웃돌았다.5년 상대생존율로 본 암 진료 성과에서 한국의 대장암은 70.9%, 자궁경부암은 77.8%로 OECD회원국 중 가장 높은 성과를 보였다.

 

5년 상대생존율은 같은 연령대 일반인의 5년 생존율과 비교한 암 환자의 5년 생존율이다. 암 상대생존율이 100%라면 일반인의 생존율과 동일한 것을 의미한다.유방암의 경우 85.9%로 OECD평균(84.9%) 수준이었으나, 2011년 82.2%보다는 생존율이 지속적으로 향상됐다.

 

뇌졸중 진료성과도 높았다. 2013년 45세 이상 허혈성 뇌졸중 입원환자 30일 치명률은 3.2%로 OECD회원국 중 가장 우수한 수준이었다. 30일 치명률은 입원한 시점을 기준으로 30일 내에 사망(모든 원인으로)한 환자의 비율을 뜻한다.

 

급성심근경색증 30일 치명률의 경우 2011년 비교(2009년 진료분 10.4%)에서 OECD회원국 중에서 최하 수준을 보였으나, 올해 비교(2013년 진료분)에서는 8.3%로 낮아지는 등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한국의 만성질환 관리는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만성질환 관리 영역에서 천식과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으로 인한 입원율은 인구 10만 명당 310.6명으로 OECD회원국 평균(242.2명)에 비해 높았다. 당뇨 입원율 또한 인구 10만 명당 310.7명으로 OECD회원국 평균(149.8명)에 비해 높았다.

 

천식과 만성폐쇄성폐질환, 당뇨와 같은 만성질환은 일차의료 영역에서 관리를 잘 하면 입원이 예방되는 질환이다. 즉, 이들 질환으로 인한 병원 입원율이 높다는 것은 일차의료 환경에서 관리가 제대로 안돼 질병이 악화되었거나, 입원 병상이 비효율적으로 활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당뇨 환자는 심혈관계 질환 예방을 위해 지질저하제 처방을 진료지침에서 권고하고 있지만, 한국의 당뇨 환자 지질저하제 처방률은 2012년도 기준 42.7%로 OECD평균(65.5%)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고혈압이 동반되는 당뇨 환자의 일차선택 항고혈압제 처방률은 77.2%로, OECD평균(77.8%)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민승기 기자 a1382a@focus.kr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5-11-05 16:48:37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