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건강기능식품 안전기준 강화 및 합리적 제도개선 - 「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 및 기준·규격 인정에 관한 규정」·「건강기능식품 등 유통기한 설정기준」 일부개정고시(안) 행정예고
  • 기사등록 2019-04-30 16:44:51
기사수정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18년 건강기능식품 재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비타민 D 등 기능성 원료 5종에 대해 섭취 시 주의사항 신설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 개정안을 4월 30일에 행정예고 한다고 밝혔다.
비타민 D, EPA 및 DHA 함유유지, 쏘팔메토 열매 추출물, 글루코사민, 프락토올리고당이 해당되는 기능성 원료 5종이다.
개정안의 주요 내용은 ▲기능성 원료 5종에 대한 섭취 시 주의사항 신설, 중금속 규격 개정, 기능성 내용 및 일일섭취량 변경 ▲유지의 산패관리 규격 신설 ▲비타민 일일섭취량 단위 추가 등이다.
재평가 결과에 따라 기능성 원료 5종 각각의 섭취 시 주의사항을 신설하고, 프락토올리고당은 확인되지 않은 기능성 내용을 삭제하였으며, 글루코사민에 대해서는 비소 규격(총비소 4.0이하)을 추가 하고 안전성과 기능성이 확인된 일일섭취량으로 변경하였습니다.
상세내용을 보면 EPA 및 DHA 함유 유지에 ‘의약품(항응고제, 항혈소판제, 혈압강하제 등) 복용 시 전문가와 상담할 것’ 등 신설, 프락토올리고당 기능성 내용에서 ‘유해균 억제·칼슘 흡수’ 삭제, 글루코사민 일일섭취량을 1.5∼2g에서1.5g으로 변경, 유지의 산패 관리를 위하여 EPA 및 DHA 함유유지에 아니시딘가(아니시딘가 : 유지 산패 시 형성되는 2차 산화물을 측정하는 시험법)와 총산화가(총산화가 = (2 × 과산화물가) + 아니시딘가) 규격을 신설하였다.
또한 비타민 A, D, E의 일일섭취량 단위를 마이크로그램(μg) 또는 밀리그램(mg) 외에도 IU(International Units)로도 환산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개정하였다.
한편 식약처는 같은 날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 및 기준·규격 인정에 관한 규정」과 「식품, 식품첨가물, 축산물 및 건강기능식품의 유통기한 설정기준」 개정안을 행정예고 했다.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 및 기준·규격 인정에 관한 규정」개정안의 주요 내용은 ▲의약품과 같거나 유사하지 않음을 확인하는 자료를 제출자료 범위에서 삭제 ▲섭취량 평가자료 인정 범위를 국외에서 식품으로 최근 5년간 유통·판매되는 자료로 확대 ▲어린이 등 특정 대상군을 섭취대상으로 하는 기능성 원료에 대한 제출자료 명확화 등이다.
「식품, 식품첨가물, 축산물 및 건강기능식품의 유통기한 설정기준」 개정안 주요내용은 ▲유통기간 설정실험 생략을 위한 유사제품 비교 항목 명확화 ▲실험지표 자율선정, 유사제품 비교대상 확대 등 규제사항 개선 ▲관련 법령 개정사항을 반영 등이다.
자세한 내용은 식약처 홈페이지(www.mfds.go.kr> 법령, 자료> 입법/행정예고)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엄지연 기자>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9-04-30 16:44:51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